인터넷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고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는 건 누구에게나 익숙한 일이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광고 수익을 노리는 목적으로 위장된 다운로드 링크가 급증하고 있다. 사용자는 정상적인 링크라고 착각하고 클릭하지만, 실제로는 광고 사이트, 피싱 페이지, 또는 자동 설치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무료 소프트웨어, 영화, 게임, 전자책 등을 찾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위장 링크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으며, 정상 다운로드 버튼과 위장된 가짜 링크를 구별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위장 링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일반 사용자도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구별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 1. 다운로드 버튼이 여러 개 있는 페이지는 의심해야 한다
대부분의 위장된 다운로드 페이지에는 3개 이상 다운로드 버튼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어느 버튼을 눌러야 할지 혼란스럽게 만든 뒤, 클릭을 유도하여 광고 수익이나 악성코드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 실제 사례
- "Download Now", "Fast Download", "High Speed Download" 버튼이 동시에 존재
- 진짜 버튼은 작고 구석에 있으며, 가짜 버튼은 크고 눈에 띄게 디자인됨
- “광고”나 “sponsored” 표기가 아주 작게 표시되거나 아예 없음
사용자 팁:
진짜 다운로드 링크는 보통 파일명, 용량, 확장자와 함께 표시되고, 마우스를 올렸을 때 링크 주소에 exe, zip, mp4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 가짜 버튼은 클릭 시 전혀 다른 도메인으로 이동한다.
✅ 2. 링크에 마우스를 올려보고 실제 연결 주소를 확인하라
링크를 클릭하기 전, 마우스를 다운로드 버튼 위에 올려보면 브라우저 하단에 실제 연결될 URL이 나타난다.
정상적인 링크는 보통 해당 사이트의 주소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위장된 링크는 외부 광고 서버나 추적 링크로 연결된다.
📌 구별 방법
- 정상: https://example.com/download/file123.zip
- 위장: https://redirect.adtrackers.net/go?12345
- 위장: https://someothersite.xyz/install.exe
사용자 팁:
의심스러운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해당 URL을 복사해 VirusTotal에서 검사해보는 것도 매우 효과적이다.
✅ 3. "다운로드 전 설치가 필요합니다"라는 문구는 90% 이상 사기다
정상적인 파일 다운로드는 설치 프로그램을 따로 요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위장 링크는 사용자가 파일을 받으려면 “전용 다운로드 매니저”나 “설치 프로그램”을 먼저 설치하라고 요구한다.
📌 이런 문구에 주의하세요
- “Download will start after installing XYZ Downloader”
- “To unlock the file, run setup.exe first”
- “인증을 위해 프로그램을 먼저 실행하세요”
이러한 방식은 대부분 번들 소프트웨어, 광고 프로그램, 브라우저 하이재커가 포함된 악성 설치 파일을 배포하기 위한 수법이다.
✅ 4. 광고 차단기가 꺼졌을 때만 작동하는 링크는 주의하라
일부 위장 다운로드 사이트는 Adblock이 켜져 있으면 다운로드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광고를 반드시 보게 하고,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이며 동시에 사용자를 강제로 외부로 리디렉션시킬 가능성이 크다.
📌 이런 메시지에 주의
- “다운로드를 위해 Adblock을 꺼주세요”
- “Adblock이 감지되었습니다. 다운로드가 차단되었습니다”
정상적인 다운로드 사이트는 Adblock 유무에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 5. '파일명.zip.exe'와 같은 위장 확장자는 절대 클릭하지 말 것
위장 링크를 통해 받은 파일은 이중 확장자를 가진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zip이나 .pdf라고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실행 가능한 악성코드(.exe) 가 숨어 있다.
📌 위험한 예시
- invoice.pdf.exe
- ebook.zip.scr
- music.mp3.vbs
이런 파일은 대부분 클릭하는 순간 자동 실행되며, 시스템에 백도어나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 6. 다운로드 버튼에 onclick 스크립트가 삽입된 경우
웹 개발에 익숙한 사람은 개발자 도구(F12)를 활용해서 HTML 구조나 버튼 이벤트(onclick) 를 확인할 수 있다.
onclick으로 연결되는 링크는 자바스크립트로 구성된 리디렉션 기능일 가능성이 크고,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로 가는지도 모른 채 클릭하게 만든다.
📌 예시
<a onclick="window.open('http://adredirect.site')">Download</a>
이런 링크 구조는 보통 광고 수익이나 악성 리디렉션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 결론
위장된 다운로드 링크는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구별하기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인 구별 방법만 익혀도 대부분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요약 체크리스트
✅ 다운로드 버튼이 여러 개일 땐 반드시 URL 확인
✅ 링크에 마우스를 올려 연결 주소를 미리 체크
✅ 설치 프로그램 요구 시 다운로드 중단
✅ 의심 파일은 VirusTotal로 검사
✅ 확장자가 .exe, .scr 등으로 끝나는지 확인
✅ 광고 차단기 우회 메시지는 경고 신호
✅ 다운로드 버튼에 리디렉션 스크립트 여부 점검
사용자 스스로가 보안 의식을 높이는 것이, 디지털 세상에서 자신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방어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