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ZIP 파일 내부에 숨겨진 악성코드 탐지법

by valueinfo04 2025. 4. 9.

요즘 악성코드 유포 방식은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특히 이메일 첨부 파일, 파일 공유 링크, 무료 소프트웨어 패키지 등을 통해 ZIP 파일 형식으로 압축된 악성코드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압축 파일’이라고 해서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무심코 압축을 해제하고 실행하지만, 그 안에는 정상 파일로 위장된 실행 파일, 악성 스크립트, 자동 실행 파일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다.

ZIP 파일 내부에 숨어 있는 악성코드는 압축을 풀기 전에는 백신에서도 탐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리 내용을 확인하고 사전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ZIP 파일 안에 악성코드가 숨겨져 있는지 확인하는 6가지 방법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쉽고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 1. ZIP 파일이 너무 작거나 너무 클 경우,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ZIP 파일의 용량은 내부에 어떤 파일이 들어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힌트를 준다.
예를 들어, PDF 파일 하나를 받았는데 ZIP 용량이 1MB도 되지 않거나, 반대로 100MB 이상이라면 정상적인 문서보다 추가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 사용자 실천 팁

  • ZIP 파일을 열기 전, 파일 속성에서 용량 확인
  • 이미지, 문서 위장 파일인데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클 경우 주의

✅ 2. 압축 해제 전에 ‘미리보기’로 내부 파일 구조부터 확인하라

대부분의 압축 프로그램은 압축을 풀지 않고도 내부 파일 목록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확장자, 파일명, 폴더 구조만 잘 봐도 절반 이상은 거를 수 있다.

📌 확인 포인트

  • 이중 확장자: invoice.pdf.exe, report.doc.vbs
  • 자동 실행 파일: autorun.inf, setup.exe, runme.bat
  • 무의미한 파일명: 12345.exe, a1b2c3.scr → 자동 생성된 악성코드 가능성

✅ 꿀팁
파일 목록을 봤을 때 문서나 이미지 외에 실행 파일이 하나라도 있다면 절대 실행하지 말 것.

✅ 3. ZIP 파일 자체를 VirusTotal 같은 온라인 검사 도구에 업로드하라

많은 사용자가 압축 파일은 검사하지 않고 내부 파일만 검사하려고 한다.
하지만 요즘 온라인 보안 도구들은 ZIP 파일 전체를 업로드하면 내부 파일까지 스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추천 사이트

✅ 사용법

  1. ZIP 파일 그대로 업로드
  2. 스캔 결과에서 탐지 항목 확인
  3. ‘Detected’ 수가 1개 이상이면 실행 금지

✅ 4. 압축 해제 시 관리자 권한 요청이 뜨면 무조건 의심하라

정상적인 문서나 사진 파일은 압축을 풀 때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런데 압축 해제 도중 “Windows가 이 작업을 실행하려면 권한이 필요합니다” 또는 “이 앱이 장치 변경을 허용하겠습니까?” 같은 메시지가 뜬다면,
해당 압축 안에 시스템 파일 변경을 시도하는 실행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조치 방법

  • 즉시 압축 해제 중단
  • ZIP 파일 삭제 및 바이러스 전체 검사 실행

✅ 5. 압축 해제 후 생성되는 숨김 파일 또는 자동 실행 파일에 주의하라

일부 악성 ZIP 파일은 압축을 푸는 즉시 숨김 파일(.hidden) 또는 자동 실행 스크립트(.bat, .cmd) 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눈치채지 못한 채 해당 파일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시스템에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된다.

📌 확인 방법

  • 압축 해제 후 탐색기에서 “숨김 파일 보기” 옵션 활성화
  • .bat, .vbs, .cmd, .reg 파일 존재 여부 확인
  • 의심스러운 파일은 절대 실행 금지

✅ 6. 샌드박스(가상 환경)에서 실행 테스트를 먼저 하라

압축 파일을 꼭 확인해야 할 경우, 본인 컴퓨터에서 바로 실행하지 말고 가상 환경 또는 샌드박스 프로그램에서 먼저 테스트하는 것이 안전하다.

📌 추천 환경

  • Windows Sandbox (윈도우10 Pro 이상 기본 제공)
  • VirtualBox, VMware (가상 머신 사용)
  • Any.Run, Cuckoo Sandbox (온라인 샌드박스 분석)

✅ 사용 팁
가상 환경에서 실행 시도했을 때 비정상적인 네트워크 접속, 프로세스 생성, 파일 생성이 보인다면, 그 파일은 악성이다.

✅ 결론

ZIP 파일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건 매우 위험한 착각이다.
악성코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곳, 바로 압축된 파일 내부에 교묘하게 숨어서 사용자 클릭을 기다린다.

✅ 요약 체크리스트

  • ZIP 용량이 비정상적이면 의심
  • 압축 해제 전 내부 파일 목록 확인
  • 이중 확장자 또는 실행 파일 여부 점검
  • VirusTotal로 ZIP 자체 검사
  • 관리자 권한 요청 시 즉시 중단
  • 숨김 파일, 자동 실행 파일 존재 확인
  • 샌드박스에서 먼저 테스트 후 판단

보안은 복잡하지 않아. 단지 ‘조금 더 확인하는 습관’이 당신의 데이터를 지킨다.
오늘부터 ZIP 파일 하나도, 그냥 열지 말고 먼저 의심해보자. 그게 보안의 시작이다.